패키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Scent Vizualization : 후각을 시각화하다. 코의 천장에 있는 엄지손톱 크기의 '후각상피' 에서는 500만개에서 2000만개의 후각신경 세포들을 통해 냄새 수용체에서 특정화학물질이 달라붙으면 그 전기자극을 대뇌로 보내고 대뇌는 이를 냄새라고 자극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만가지의 냄새를 구분할 수 있고, 특정한 냄새가 자극할 시 그와 연관된 기억을 상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시골길을 걸을 때 그리운 냄새라고 생각하며 옛 고향을 떠올리는 어르신들, 삼겹살 냄새를 맡으며 회사 회식을 떠올리며 소주 한잔을 떠올리는 회사원들, 빵 구워지는 냄새를 맡으며 베이커리에서 빵을 사고싶어지는 어머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기억을 상기시켜 소비자의 욕구 자극에 이렇게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후각이지만, 실제로는 후각은 민감하고 쉽게 피로를.. 더보기 브랜드 경험을 시각화하다. PlusX 19세기 초 미술계에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던 고대 신화나 중세 이야기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화풍이 유행을 한다. 이러한 장르는 눈에 보이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리던 정물화나 풍경화, 인물화 같은 구상미술이 아니라 작가가 머릿속으로 생각한 장면을 그려내는 것으로써 비구상미술로 분류되었다. 고대 신화의 한 장면을 화폭에 담아내던 지난날의 미술부터 화가 자신이 쏟아내고자 했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화폭에 담아낸 추상미술 그리고 최근에는 더욱 확대된 개념으로 여러가지 매체와 재료를 사용해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개념미술 분야로 뻗어나간다. 예술 뿐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를 바탕으로 제작된 제품 디자인, 브랜드의 가치를 표현한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디자인과 예술 분야야말로 작가와 디자이너의 생각을 시각.. 더보기 초록색 VS 파란색, 색깔은 같지만 주고자 하는 브랜드 가치가 다르다? 푸르지만 다른 초록색 VS 파란색 색깔은 같지만 주고자 하는 브랜드 가치가 다르다? 브랜드 이미지는 상품 자체로서의 가치에 부가적인 감성 가치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R. F Wilson은 인간이 획득한 지식의 84%는 눈을 매체로한 것이라고 하였듯이 이미지의 형성은 인간의 감각 중 대부분 시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브랜드에서 시각적인 요소란 로고, 심벌, 컬러 등을 꼽을 수 있다. 브랜드명 등 언어적인 요소들은 전달하는 제품 관련 속성이나 혜택 정보를 제시해주는 반면, 시각적인 요소들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변하고 제품의 선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시각적 요소 가운데서 특히 컬러는 브랜드에서 BI, 제품, 매장 인테리어 등에 폭 넓게 사용되며 브랜드의 가치를 가장 잘 전달해주는 수단이라고 .. 더보기 이전 1 다음